카테고리 없음








안녕하세요.
외대 에이블치과입니다 :)



치아의 볼 쪽이나 혀 쪽 잇몸에 뾰루지 같은 증상을 경험해보신적 있으신가요?
오늘은 잇몸의 염증, 고름 주머니로 인하여 불편감을 호소하셔서 내원해주신 환자분의

치료 과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이 치료 과정은 치아를 살리기 힘들게 되어 
발치를 하면서 동시에 뼈이식까지 진행한 치료 증례입니다. 









 

 


위 사진의 골드 크라운이 되어 있던 치아의 잇몸이

반복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등의 증상으로 치과에 내원해 주셔서

사진을 찍고 자세히 보니 
아래쪽에 잇몸이 볼록하게 튀어나온 부분(abledent 바로 위쪽이죠) 이 보이시나요?

잇몸에 뾰루지처럼 볼록 튀어나오는 증상인데.. 

컨디션이 안 좋으면 올라왔다가, 잠을 푹 자거나 컨디션이 괜찮아지면 다시 작아지는

그런 증상을 반복적으로 경험하시고 계신 분들이 있으실 것이라 생각합니다.

만약 예전에 그 부분에 신경치료를 받았던 적이 있으시다면, 이번 포스팅을 잘 읽어 보세요!
















환자분의 파노라마 엑스레이 사진입니다.
노란색 동그라미 안의 큰 어금니 치아 2개가 바로 뾰루지가 계속 올라왔던 그 치아인데요

뿌리들을 둘러싸며 까맣게 보이는 부분이 있습니다.
까맣게 보이는 부분들이 모두 뿌리 부분을 감싸고 있는 염증 양상인데요.
조금 더 자세히 나오는 엑스레이를 촬영하여 확인해 보면.. 













자세히 나오는 엑스레이를 한 장 더 촬영해 보았습니다.
염증의 크기를 노란색 선으로 대략적으로 표시해 보았는데요, 
뿌리 아래쪽으로 자리 잡은 염증이 크게 보이고 
더 중요한 것은 크라운 내부로 충치가 크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. 

두 개의 치아 모두 예전에 신경치료를 받았던 치아인데요. 
어떠한 원인에 의해

예전에 신경 치료했던 치아의 sealing이 깨지면서 오염과 재감염이 발생하였고

그로 인해 뿌리 끝쪽으로 염증이 재발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. 

 

https://blog.naver.com/abledental02/222300327808

 

치아 신경치료보다 더 중요한 것, 재감염의 방지

1) https://blog.naver.com/abledental02/221258735395 아주 오래전에 블로그를 시작할 때 즈음에 올렸던 ...

blog.naver.com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치료 계획은 
1) 크라운을 제거 후 재신경 치료를 시도해보고 
2) 살릴만한 상태가 아닌 경우 발치 가능성이 있다
라고 설명을 드렸습니다. 

모든 치과 의사가 환자분의 자연 치아를 최대한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해 드리려 노력하지만..

당연히 그것이 어려운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.
치료에도 분명 타이밍이 있기 때문에
적절한 타이밍에 제대로 된 좋은 치료를 받는 것이 
환자분의 치아 수명을 늘리는 것에 도움이 됩니다. 












 

 

 

오래된 골드 크라운을 제거한 뒤 촬영한 한 컷인데요.
크라운을 제거하자마자.. 
악취가 심하게 올라와서 상태가 많이 안 좋다,라고 느껴졌습니다. 






 

 

 

 

 

 

예전에 만들어두었던 코어 부분을 조금 건드려보니..
치아의 내부가 다 삭아 있어서

치아를 보강해두었던 부분이 그냥 으스러졌고,

그 옆쪽 치아 역시 같은 상태였는데요. 
치아를 살리기 어려운 상태였음을 확인하고

발치 후 임플란트 치료로 계획을 변경하여 설명드리고

치료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.














발치 한 뒤 촬영한 한 컷입니다.

발치 후 바로 임플란트를 식립해 드리려고 했지만 

치아 뿌리에 염증이 많이 진행되고 있었고

그로 인해 임플란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뼈가 부족한 상태였습니다.
그래서 우선 염증을 전부 깨끗하게 제거한 뒤 소독을 하고 뼈이식을 진행하기로 합니다.














위에 보이는 흰 가루들은 뼈이식재입니다. 

치아를 발치한 자리를 소독해준 뒤 뼈이식까지 진행하면서 촬영한 사진입니다.
발치 후 즉시 뼈이식을 진행하는 경우 골폭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데요. 

사람의 잇몸 뼈는 치아 뿌리 의존 구조물이기 때문에
치아를 발치해서 뿌리가 없어지게 되면
그것을 감싸고 있던 잇몸 뼈도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골 흡수가 일어나게 됩니다. 
그래서 발치를 한 뒤 시간이 오래 지나게 되면

잇몸 뼈가 너무 많이 흡수되어 임플란트를 심지 못하게 되는 그런 상황이 생길 수도 있는데요.
발치 후 즉시 뼈이식은 그런 일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. 


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뼈 이식재와 멤브레인을 적절히 위치시켜준 뒤 

봉합하여 마무리하였습니다.










 

 

 


뼈이식을 마친 뒤 엑스레이를 한번 촬영해 보았습니다. 
발치한 곳과 염증으로 인해 뼈가 녹았던 부분에 

뼈 이식재를 촘촘히 잘 넣어주었습니다.

보통 일반적인 경우, 뼈이식을 해둔 뒤 3개월 정도를 기다린 후 임플란트 식립을 진행하게 되는데요

경우에 따라 4개월 정도를 기다릴 수도 있고

뼈 파괴가 아주 심했던 경우에는, 이식해둔 뼈 이식재가 뼈로 바뀔 때까지 시간이 좀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 

 5~6개월까지 기다릴 수도 있습니다. 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발치 후 뼈이식 수술을 한 뒤 약 6주 경과 후 촬영한 사진입니다.

멤브레인 안쪽으로 잇몸이 잘 차 올랐고 (잇몸의 양을 늘릴 수 있음은 발치 후 즉시 뼈이식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)

대략 6주가 지나면 멤브레인을 제거하면서 잇몸의 성숙을 도모하게 됩니다. 

이 환자분의 증례의 경우에는 뼈 이식 양이 상당히 많았기 때문에

대략 4~5개월 정도를 기다린 뒤 임플란트를 식립 할 예정입니다. 

 



신경 치료한 치아에 염증과 고름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

빠른 시일 내 치과에 내원하셔서 검진을 받아보시는 것이 당연히 좋습니다.

증상이 반복되는 경우, 크게 불편감이 없다는 이유 만으로 방치하신다면 
치아를 살리기 어려운 상황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

잇몸염즘, 고름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신다면 아래 링크도 참고해주세요!

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blogId=abledental02&logNo=221780286910&referrerCode=0&searchKeyword=%EC%9E%87%EB%AA%B8%EA%B3%A0%EB%A6%84

 

잇몸 염증 고름, 잇몸 고름, 원인과 해결 방법에 관해서

잇몸에 뭔가 볼록 튀어나온 것, 잇몸 특정 부위에 혹처럼 튀어나오는 것이 컨디션이 안 좋으면 올라왔다가,...

blog.naver.com